원지

 

고려 때 이두어로는 비사두도초(非師豆刀草)라 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아지초(阿只艸)라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아기풀불휘’, 『방약합편(方藥合編)』에는 ‘아기풀ᄲᅮ리’로 되어 있는데 원지와 아기풀은 유사식물이며 원지가 아기풀은 아니다. 학명은 Polygala tatarinowi REGEL이다.
높이는 30㎝에 달하고 뿌리는 굵고 길며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있는 약간 꼬부라진 털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1.5∼3㎝, 너비 0.5∼1㎜로서 선형(線形)이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식물인데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 약효는 거담작용과 정신안정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객담을 용이하게 하며 건망증·가슴두근거림·불면·억울증상 등에 효과가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원지(遠志))]

상담신청

자하연한의원은 밀도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1인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남겨주시면 확인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상담신청

    자하연한의원은 밀도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1인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남겨주시면 확인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