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학서(本草學書)인 『신농본초경』에서는 365종의 약물을 상중하의 3품으로 분류하여, 상품 약 120종, 중품 약 120종, 하품 약 125종으로 구별하였다. 인삼은 상품약에 들어 있으며, 인삼의 약효에 대해서 “오장을 보호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고,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 수 있다.”는 등의 표현을 하고 있어, 오늘날의 과학으로 밝혀진 인삼의 효능과 잘 부합된다.
후한(後漢) 헌제(獻帝) 건안 연간(建安年間)의 저작이라고 인정되는 장중경(張仲景)의 『상한론(傷寒論)』에 처음으로 인삼의 구체적인 처방이 21방(총 113방)이 나오고 있으니, 이것이 최초의 인삼 의약기록이다. 우리 나라에서 오늘날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한방처방서인 『방약합편』에 올라 있는 467방의 처방은 상중하의 3통분류(三統分類)로 나누어져 있다.
상통처방은 ‘보제(補劑)’, 중통처방은 ‘화제(和劑)’, 하통처방은 ‘공제(功劑)’이며, 인삼이 배합되어 있는 132종 처방의 약 94%가 상통과 중통에 들어 있음으로 보아, 인삼은 보약 또는 강장제로 사용되는 것이지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한방에서 인정되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강심·건위보정(健胃補精)·진정약으로 널리 상용되고, 위장기능 쇠약에 의한 신진대사기능의 저하에 진흥약(振興藥)으로 사용되며, 병약자의 위부정체감(胃部停滯感)·소화불량·구토·흉통(胸痛)·이완성하리(弛緩性下痢)·식욕부진 등에도 응용된다.
이와 같은 약효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비교적 늦어 1950년대에 이르러서야 급속하게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성분·약리작용 및 임상적인 연구에 있어서 획기적인 결과가 많이 나와서 수천 년 동안의 신비가 과학적으로 해명되기 시작하는 동시에, 인삼이 결코 동양인의 신앙에 의해서만 계승되어 온 것이 아님이 입증되어 가고 있다. 또한 인삼의 과학적인 연구에 있어 우리 나라의 약학자 또는 의학자의 공헌이 크다는 것이 국제적으로도 인정되고 있어 인삼종주국으로서의 권위를 과시하고 있다.
인삼약효의 주성분이라고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사포닌 배당체(配糖體) 물질은 항피로작용(抗疲勞作用)·작업능력증진작용·성선(性腺)주 06)의 발육촉진작용·혈당치 강하작용 등을 함이 증명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사실은 인삼의 기본적 약리작용을 ‘적응소효과(adaptogen효과)’로 대표시키려는 학설이 유력하다는 사실이다.
‘생체가 가지고 있는 비특이적(非特異的)인 저항력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병적인 상태를 정상화시켜 주는 작용’이 그 개념이며, 인삼의 만병통치약으로서의 효과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부신피질 기능의 강화에 유효한 것이 그와 같은 정상화작용의 뒷받침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콜린작동성(choline 作動性)을 증강하여 혈압강하, 호흡촉진, 실험적 과혈당(過血糖)의 억제, 인슐린작용 증강, 적혈구 수 및 헤모글로빈의 증가, 소화관운동 항진 등의 작용이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그 밖에 생체단백질 및 DNA(deoxy ribonucleic acid)합성촉진작용·항암작용 등이 있음이 연구되기 시작함으로써 장생불로약으로서의 인삼의 신비가 점차 과학화되는 추세에 있다.

상담신청

자하연한의원은 밀도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1인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남겨주시면 확인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상담신청

    자하연한의원은 밀도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1인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보를 남겨주시면 확인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메뉴 닫기